2019. 6. 3.

아사코



불이 켜졌다.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과 진행자, 대담자가 들어왔다. [아사코]는 두 번째 감상이다. 올해 가장 이상했던 영화. 아직 반 년이 남았지만, 분명 그리 되리라는 확신으로 이끌린 영화다. 비밀을 풀고자 하는 마음으로 감독과의 대화를 예매했다. 그러나 한 번 더 보고 나자, 구태여 그 비밀을 풀려 들 필요가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째서였을까. [아사코]는 매우 사실적인 톤으로 찍혔으면서도, 매우 느닷없고 비현실적인 방식으로 사건을 제시하고 상황을 풀어간다. 바쿠와 아사코가 처음 사랑을 이루는 장면부터 그렇다.(어떻게 저렇게 연애를 시작할 수 있지?) 쿠시하시는 남의 집에 초대받아 잘 얻어먹고서도 느닷없이 마야의 연기가 제대로 형편없다며 호통을 친다.(그리고는 곧바로 무릎을 꿇고 빈다. 뭐지?) 마치 거기에서 만날 것이 불가피했던 운명처럼 (억지스레) 아사코와 하루요는 재회한다. 영문도 없이 사라졌던 바쿠는 흡사 유령처럼 (평온한 얼굴로) 아사코 앞에 다시 나타나고, 아사코는 그런 바쿠의 손목을 붙잡고 뭐에 홀린 듯 료헤이와 친구들의 곁을 도망쳐 나온다. 이 모든 비현실성과 비개연성들. 그러나 여기엔 이상한 리듬이 있다. 그것이 만드는 기묘하고 나른한 감각에 점차 설득 당하는 지경까지 이른다. 차라리 이 영화 전체를 ‘관계의 불안’, ‘일상성의 불안’에 관한 하나의 거대한 상징으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는 생각에 이끌리는 것이다. 동일본 대지진 모티프의 삽입이 (조심스러운 말이나)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문명사적 비극을 이용하려는 얄팍함이 없이, 그 불안의 체험을 관객과 함께 나누려는 조용한 야심이 여기엔 깃들어 있다. 하마구치가 앞서 도호쿠 3부작 다큐를 찍을 때, 재난 지역의 주민들로부터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은, “이 모든 것이 한바탕 꿈만 같고, 환상 같다”는 것이었다. 그 시간, 도호쿠는 집이 부서지고, 전기가 끊기고, 가족이 죽고, 하수구가 역류하고, 논밭은 헝클어지고, 곳곳에 썩은내가 진동하고, 여기저기서 그치지 않는 울음이 이어졌다. 한복판에 놓였던 피해자들은 그 모든 비극을 다름아닌 ‘육체’로 겪어낸 사람들일 것이었다. 더 없이 실제의 감각으로 그 모든 비극을 통과했던 주민들이, 그러나 결국 전한 말은 그 시간이 '꿈' 같았다는 것, 한바탕 '환상' 같았다는 것이었다. [아사코]를 보는 동안 나는 저 관계의 불안, 일상의 불안에 나란히 동석하는 기분을 느꼈다. 그것이 [아사코]가 택한 이상한 방식 때문에 더 짙어졌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경력의 상당 부분을 '다큐멘터리'로 채워온 하마구치 류스케에게, 나는 [아사코] 같은 '환상성의 영화'를 찍어냈을 때에도 그가 굳건히 견지했을 중심의 태도에 관해 질문하고 싶었다. 그러나 행사의 시간은 짧았고 결국 나는 묻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