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5. 30.

기생충



그 모든 일들이 지나간 후, 장남 기우가 아버지 기택에게 (부치지 못할) 편지를 쓰는 내레이션 장면이 참 좋았다. '나는 당신을 만나기 위해, 성공하겠다. (악착같이) 돈을 벌고, 어떻게든 이 (천민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어코 살아남고야 말겠다. 부자가 되겠다. 그리하여 그 집을 얻고, 당신과 만나겠다.' 우리 시대 청년들은, 80년대처럼 짱돌을 들 수도 없고, 공통의 목적의식으로 세상의 부조리에 맞서 연대하기도 힘들다. 자칫 미끄러져 도태될 것이라는 불안을, 상당한 불안을, 거의 태어남과 동시에 학습받고 체화하면서 성장해왔으니까. 혹자는 너희들 패기가 왜 없느냐, 이제까지 세상을 바꾼 건 언제나 젊은이들이었는데, 너희들은 왜 개인의 분노로만 수렴되거나, 아니면 그것도 못해 자학에 빠지고, 자기연민에 빠지고, 신경증이나 걸리고 앉았느냐, 라고 힐난한다. 알기는 알까.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해서, 아니 이 세상에 살아남기 위해서, 그저 평범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하는 수 없이 이들이 의탁케되는 길은 끝내 제도권 경쟁이라는 사실을. 공무원 시험이나 대기업 공채, 수많은 시험들 시험들 시험들. 아니라면, 그것도 아니라면, 제도권 밖의 다른 방도를 통과해 '한탕'을 노리는 수밖에. 비트코인 광풍. 집단 최면의 풍경들. 하여간, 어찌되었든, 그저 '평범한 삶'을 위하여, 생 전체를 송두리째 내던져야 하는 일들이 이들에게는 전혀 심심치 않고, 전혀 과장인 일이 아니다. 아무리 발버둥쳐봤자 구정물에 침수될 뿐인 집. 그런 삶. 그 '엄정한 냉혹'의 세상을 견뎌야하는 청년의 얼굴들. 이 영화의 마지막은 최우식의 얼굴로 닫힌다. 그것이 너무나 좋았다. 좋았고, 서글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