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 16.

2021. 10. 5.

인생픽션 2021

이 일 또한 5년에 한번씩 행해볼까 한다.
(인생영화시리즈처럼)











2021. 10. 2.

레이먼드 카버의 말



대담자:
당신은 자신의 작품이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기를 얼마큼이나 바라고 계십니까? 당신의 이야기들이 누군가를 변화시킬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카버: 
(상략) 
좋은 픽션은 부분적으로 이곳에서 저곳으로 소식을 전달해주는 일종의 매개체와 같으며, 그리고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픽션을 통해서 사태를 변화시킨다는 것, 고래나 삼나무의 생명을 구한다는 것 등은 다 부질없는 소리입니다. 만약 당신이 의미하는 변화가 이런 것들이라면, 나는 거기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 또한 나는 픽션이 반드시 이러한 것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어야만 한다고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픽션은 단지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즐거움만 있으면, 그것으로 족합니다. 그 자체로서 아름다운 것이지요. 무언가를 읽음으로써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영속적이면서 지속적인 어떤 다른 종류의 즐거움들. 이러한 불꽃들을, 비록 희미하다 할지라도 지속적이고 견실한 이 모든 광채들을 진정 예술이라 부르고 싶습니다.




2021. 8. 16.

이수경, 구지윤, 프랑수아 트뤼포


1. 모처럼 외출을 했다. 

2. 아트선재센터서 이수경의 <달빛왕관>을 보았고, 이어 아라리오 갤러리서 구지윤의 <혀와 손톱>을 보았다. 이수경과 구지윤 모두 중진작가로서 제법 업계에 이름이 나 있는 것으로 안다. 나는 이들의 전시를 처음 보았다. 다소 거칠지만, 두 전시를 '흘러내리는 신체에 관한 작업'이란 한 줄로 꿸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3. 이수경의 <달빛왕관>은 외견상 화려하고 과시적인 설치작업들로 구성된 것 같지만, 그것을 구성하는 오브제의 면면은 모두 분절 난 여성 신체 조각들이다. 그 충돌감이 이상한 감흥으로 이끈다. 3층에 이어지는 영상작업을 통해 이수경의 지향을 감히 가늠해볼 수 있었다. 선명한 메시지를 부러 피하려 한 듯하나, 분명한 사회적 운동성을 읽을 수 있었다. 그 넘칠듯한 긴장과 균형감에 탄복하고 말았다.  

4. 구지윤의 <혀와 손톱>은 캔버스에 유화작업으로만 구성되었다. 2호 사이즈부터 300호(는 족히 되어 보이는 대형) 사이즈까지 다양한 크기의 작업들이 있었다. 형태를 뭉개는 추상회화의 전형들이었고, 전시 제목과 같이 신체기관 및 분비물을 연상케 하는 색채와 형상의 사용이 있었다. 굉장히 대담하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이수경에게서 느꼈던 긴장감과 같은 것을 얻지는 못했다. 

5. 전시를 보고, 에무시네마에서 프랑수아 트뤼포 <400번의 구타>를 DCP로 보았다. 꼬박 한 두 해마다 한 번씩 트는 영화인데, 절반은 영화에 사용된 음악 때문이고 다른 절반은 앙뜨완 드와넬의 얼굴 때문이다. 에무시네마를 나오면서 이 영화를 스크린으로 본 것은 이번이 처음임을 알아챘다. 앙뜨완 드와넬이 발자크를 흠모해 방구석 한켠서 작은 제의를 갖는 장면을 언제나 사랑스러워하는데, 커튼 조각에 옮겨 붙었던 불이 그렇게 컸다는 걸(그래서 하마터면 영화고 뭐고 다 타 죽을 뻔했다는 걸) 이전 감상에서는 이리 실감하지 못했었다.    






2021. 6. 26.

중력


1. 시와가 태어난 지 90여 일이 흘렀다. 모두가 그러할 것처럼, 우리에게도 여러 변화들이 찾아왔다. 작고 소중한 존재에 대한 '구체적' 감격, 애틋함. 그를 바라보며 샘솟는 '질적으로 새로운' 책임감. 그러나 한편, 현실로부터 10센티 정도 붕 뜬 상태의 생활감으로 줄곧 살아왔던 내게, 출산 및 본격 육아의 지난 90여 일은 현실의 준엄한 중력을 절감케 하기에 충분한 시간이기도 했다.

2. 피로. 우선 육체의 피로. 그로 인한 정신의 아둔함. 마치 '지속-멈춤-다시 지속'이라는 단락과 매듭이 이제 돌아오지 않을 것 같은 막막함. 그로 인한 천천한 존재의 균열. 이어지는 시간들. 다시 피로. 육체의 피로. 그로 인한 정신의 아둔함. 존재의 조각들이 하나씩 상실되는 기분. 

3. 말할 필요 없이 내 자식은 아름답다. 나와 아이 사이에 충분한 시간이 축적되지 않았더래도, 이 생명과 마주한 그 최초의 시간부터 우린 흡사 신경망처럼 즉각 연결되어버렸다. 응당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내 가장 아끼는 것을 당장 내어 놓아야 한대도 전혀 아깝지 않을 존재로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사랑의 문제와 분리되는 이 존재론적 부스러짐이란, 전에 미처 그 폭과 종류를 감히 예상하기 어려웠던 것이었다. 한동안은 이 당혹감과 살아가야 할 것이다.  






2021. 4. 18.

이시와 탄생

 


2021. 3. 31. 이시와 탄생하다.











2021. 3. 6.

하마구치 류스케의 말



"자기와는 완전히 다른 가치관과 만나, 자신의 가치관이 근본부터 흔들리는 체험, 전 그 가혹한 체험이야말로 교류라고 생각합니다. 가치관이 서로 부딪치고, 상처를 입힙니다. 그것이 퇴행적인 의미는 아닙니다. 이 상처와 균열은 또 다른 가치관으로 이어지는 입구가 되기 때문입니다.” 

                                                                                                  - 하마구치 류스케





2021. 2. 21.

두 아기, 시와 무무


1. 출산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밖을 향해 밀어내는 아기 힘 자국이 이제는 육안으로 보인다. 온몸으로 겪어내고 있는 아내에게 감사하고 미안한 마음이다. 출산의 불안 또한 비교할 수 없을 무게로 아내 편이 더 감당해 내고 있을 것이다. 돌아보면 나는 고작 약간 분의 역할만 하고서는 이런저런 말을 붙여 저 불균형을 무마하려 해왔던 것 같다. 미안하고 부끄럽다.  

2. 무무가 슬개골 탈구 판정을 받았다. 일하던 중 아내로부터 소식을 들었다. 아내는 수의사가 이런저런 설명을 하는 동안 아무것도 귀에 들어오지 않았다고 한다. 곧 눈물이 터져 나왔다고 한다. 그 반면, 그 소식을 들은 나는, 아니 도대체 왜?라는 생각을 먼저 했다. 산책도 무리하게 시키지 않았고, 줄 수 있는 가장 건강한 음식을 주었고, 미끄러질세라 거실에 카펫도 깔아주었는데 왜 탈구가 온 거야? 

3. 아내는 가슴으로 먼저 받아들였고, 나는 머리로 먼저 받아들인 것이다. 이번에도.

4. 우선은 무무에게 수술을 가하지 않기로 했다. 장삿속을 최대한 덜어내고 오직 강아지의 의학적 상태만 살펴 재활 또는 수술을 권한다-고 세간에 평이 난-는 병원을 아내가 어디서 알아냈다. 6월 중순에나 진료를 볼 수 있는 병원이라고 한다. 그전까지는 무리되지 않는 산책, 생활습관 개선-가령 두발로 일어서기 금지 등-으로 재활과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2021. 2. 20.

정용준의 일기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일 평온함과 

바꿀 수 있는 것은 바꿀 수 있는 용기를 주소서

그 둘을 분별할 지혜를 주소서


모든 중독에서 벗어나게 하시되 

어떤 중독도 두려워하지 않게 하소서



                                                        - 정용준(소설가), 문예잡지 Axt 34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