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5. 31.

침묵과 응시의 예술


1. 시의 궁극적인 목적은 침묵이다, 언젠가 김수영의 이 말에 밑줄을 그으며 떠올렸던 것은 시네마의 궁극적인 목적이라는 게 있다면 그 또한 이와 같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었다.

2. 이미 너무 많은 서사들이 도처에 널려있었다. 일상대화에도 뉴스에도, 문학에도, 역사에도, 무대에도, 정치에도. 그래왔고, 그럴 것이었다.

3. 허우 샤오시엔, 위라세타쿤 아피찻퐁, 차이밍량, 로베르 브레송, 칼 테오드르 드레이어 등. 몇 이름들만을 남겨두고, 갈수록 나는 영화에서 점점 애정을 거두어 왔는데, 시네마의 본령이란 서사의 실어나름과 거의 무관한 일임에 관한 생각을 얻고부터였던 거 같다.

4. 침묵의 예술. 응시의 예술. 이미지의 운동과 사운드의 진폭만으로, 그저 사태를 '바라보기'만 할 뿐으로 저 깊은 곳에 가닿는 작업들. 관객 스스로가 그 심연에 제발로 걸어들어가도록 이끄는 예술들에 대한 믿음이 갈수록 더해갔다.

5. 시네마와 미디어아트의 경계는 점점 흐려가고 있을 것이나, 아직까지 적잖은 수의 시네마와 미디어아트가 서사의 강박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생각이었다. 

6. 국립현대미술관 [수평의 축]展에 다녀와 (시그니처 작품이랄 수 있는) 리사 아틸라의 미디어 작업을 보면서, 깊은 감동으로 이끌린 지점이 바로 이것이었다. 각기 다른 시간대에 촬영된 한 그루의 나무를 다채널 분할화면에 담아 동시에 영사하는 방식의 작업이었는데, 무엇보다 나는 이 작업에 담긴 작가의 '무심한 태도'에 사로잡히지 않을 수 없었다.

7. 앞서 언급한 바, 동시대 미디어아트의 서사 강박은 주로 인터뷰의 형태, 추상적이고 자기현시적인 내래이션으로 반복 재생산 되어지고 있다. 그런 작업들은 이미 너무 많다. 많기도 하거니와 그 이야기란 걸 잠자코 들어보면 하나마나한 소리이거나 작가 자신의 세계안에서만 수용되고말 뿐인 언어의 나열인 경우가 대부분임을 어렵잖이 알아챌 수 있다.

8. 보는 이가 스스로 그 작업 안으로 걸어 들어가도록, 작가는 그 발들임의 문간에 그저 서 있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너무 많은 서사들, 너무 많은 언어의 나열은 (내 생각에) 좋은 예술이 할 일은 아니다. 그 이유는 간단한데, 그런 예술은 관객과 예술이 관계맺는 과정에서 관객의 자기창조를 가로막고 무력감을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9. 그러니 시편이든 시네마든 회화든 설치든, 앞으로도 나는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을 말하려고 하는가, 얼마나 많은 것을 말하려고 하는가,의 일에는 관심을 두지 않으려 한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침묵하고 있는가'이며 그 침묵과 응시의 사려깊음 만큼이 그 예술의 깊이라 짐작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