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7. 12.

[여행자] 그리고 박원순



1. 세상이 어째서 이렇게 작동하는가를 알 수 없을 때 내가 줄곧 떠올리는 영화는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여행자]다. 신분을 바꿔치기한 남자의 스릴러적인 여정을 담은 영화처럼 보이지만 실은 그 드라마에 관해 영화는 아무런 관심의 태도를 갖고 있지 않다. 로크는 어째서 로버슨으로 살아가기로 한 걸까(현명한 아내가 있고, 다큐멘터리스트로서의 명망도 있는 그가 어째서? 더구나 그가 바꿔치기한 로버슨이란 인물이 대단히 매력적인 삶을 영위하거나 뭔가 그가 희구했던 삶의 보장을 가졌다 보기 힘든데?). 이 질문은 영화를 본 모두에게 찾아들 것이나, 영화는 끝내 그것을 설명할 생각이 없다. 만약 그랬다면 서사의 찜찜함을 남기지는 않았겠지만 이토록 오랜 걸작이 될 수는 없었을 것이다. 

2. 이 영화는 로크의 동기를 너무나 무심히, 너무나 뻔뻔히 끝까지 설명하지 않음으로써 도리어 하나의 중요한 태도를 보여준다. 차라리 나는 이 영화를 태도의 영화라고 기억하고 있는데 그것은 말하자면 '끝내 알 수 없음'이라 부를 만한 것이다. 누구도 이 남자의 동기를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아마 로크 그 자신도 몰랐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가 죽지 않고 끌려가 취조를 받았다면, 아마 단서가 될만한 몇 가지 정황을 내놓았을 수 있었을지는 모른다. 그러나 누구도 그것으로 결코 진실을 그려낼 수는 없었을 것이다. 왜 로버슨으로 살기로 했는지, 왜 목적도 없는 여행을 시작했는지, 우연히 만난 소녀와 이루고자 하는 게 무엇이었는지, 아니 처음부터 그런 계획들이 있기나 한 것이었는지, 영화도 모르고 관객도 모른다. 안토니오니 조차도 몰랐(르는 편이 좋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이 불가지론의 태도, 부조리의 체념적 수용이야 말로 [욕망], [정사], [붉은 사막], [자브리스키 포인트] 등을 통해 줄곧 견지해왔던 그의 인장 같은 것이었으니 말이다. 

3. 원대한 이상주의자이자 영민한 현실 개혁가였던, 무엇보다 현직 수도 서울의 수장이었던 한 남자의 죽음을 바라보면서 나는 안토니오니의 영화들을, 그중에서도 [여행자]를 떠올렸다. 그 떠남을 설명할 아무런 동기가 로크에겐 없었지만, 이 남자에겐 (사법상 확정되지는 않았으되) 죽음을 추적할만한 유력한 정황이 있다는 점은 물론 차이로 있다. 아직 장례가 진행 중인 한편, 슬픔과 분노, 추론과 억측, 합리와 비이성이 뒤엉켜 있는 지금의 풍경을 바라본다. 그러나 어떤 것도 이 남자의 죽음에 관한 진실을 결국 말해주지는 못할 것이다. 안타깝지만 우리 누구에게도 이 사건에 관해 진실로서 단정할 만한 무엇이란 건 끝내 찾아오지 않을 것이다. 이 남자 자신, 이 남자의 가족, 이 남자와 함께 했던 사람들, 이 남자로부터 피해를 입었을지 모를 사람들, 이 남자의 가치와 지향을 믿었거나 믿지 않았거나 했을 그 모두가 패배자로 남게 될 것이란 사실 외엔. 따라서 이런 방식의 죽음은 최악의 방식이란 사실 외엔. [여행자]에서 로크가 인터뷰한 한 아프리카 게릴라는 이렇게 말했다. “당신이 타자에게 던지는 질문은 당신을 더 드러낼 뿐, 결코 타자를 더 잘 알게 할 수는 없습니다.”